top of page

논문

전처리 없이 소변으로부터 신장 손상 평가 수행이 가능한 나노기술 융합 라만 분광 시스템 개발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의공학연구소) 김준기 교수 및 남궁정만 교수 연구팀 (제1저자: 이상화 박사후연구원, 남궁정만 부교수)은 요관 협착에 의한 신장 손상 동물의 소변을 샘플의 전처리 없이 라만 분광 분석기술을 이용해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기술은 혈액 또는 소변 등의 인체 유래물로부터 라만 분광 분석 기술을 통해 샘플의 분리 및 염색 등의 전처리 없이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다. 라만 분광 기술은 단파장의 레이저 빛을 샘플에 조사하였을 때, 비탄성 산란되어 반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으로부터 샘플의 화학적 정보를 획득하는 원리이다.

 

이러한 라만 스펙트럼은 타겟 분자들이 금속의 거친 표면에 존재할 때 신호의 세기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표면증강라만 (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 이라고 하며 이러한 기술을 통해 민감한 진단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연구팀은 ZnO 나노막대 구조에 금 코팅막을 형성하여 표면증강라만 센싱 칩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센싱 칩은 수십 나노미터의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혈액 및 소변 등에 존재가능한 세포(수십 마이크로 미터), 적혈구(~8 μm) 및 박테리아(~수 마이크로 미터) 등의 노이즈 원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다공성 구조 내의 바이오 마커들만 라만 신호가 증강되어 선별적 측정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요관 협착 동물모델에서 획득된 소변으로부터 신장 손상을 SERS를 통해 측정할 수 있었으며, 조직 병리 및 PCA 통계분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김준기-2.png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연구재단, 산업자원부 및 보복부 과제의 지원으로 진행되었으며, 국제 학술지인 도브 메디컬 프레스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 IF: 5.115) 10월 22일 온라인에 개제되었다.

김준기-1.jpg

※ 김준기 교수는 2014년부터 우리 병원 융합의학과 및 의공학 연구소에 재직 중이다.

 

현재 융합의학과 조교수로 미세광학, 분광 및 의공학 융합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다양한 광학 기술 기반 연구와 함께, 다수의 국책 과제를 수행 중에 있다.

서울아산병원 의공학연구소 SMART 웹진 2021년도 상반기

 

Asan Medical Center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