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30년 중장기 계획으로 14대 소재 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December 08, 2022
n10-1.jpg

과기정통부가 줄기세포, 첨단신약 등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바이오통합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2030년까지의 중장기 계획을 추진한다.
 

지난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30 바이오선도국가 진입을 위해 발표한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에는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됐다.

이번 전략은 △5대 기반-12대 핵심기술 확보 △세계 최고국 대비 기술수준 85% 달성 △디지털바이오 연구개발 집중 투자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4대 추진전략, 13대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디지털바이오 신기술·신산업 육성

◆신개념 바이오 연구‧산업 육성= 내년부터 10년간 4000억원 규모의 첨단뇌과학 분야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뇌-기계 인터페이스, 뇌기능/질환 시각화, 뇌신호 측정‧해석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까지 지원한다.

아울러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정보기술을 활용한 신개념 치료제 시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생체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칩이나 전자인공장기 같은 바이오닉스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바이오 기술로 의약품‧소재‧제품 등 제조산업 혁신= 미국 바이오행정명령(2022년 9월)에서 중요 기술로 언급한 합성생물학의 핵심 기반이면서, 인공지능‧빅데이터‧로봇 기술을 활용해 바이오 연구와 제조공정을 자동화‧고속화 할 수 있는 바이오조립생산 기반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와 산업부의 공동 기획을 통해 3천억원 규모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했다. 아울러 최근 각광받고 있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유효물질 발굴 및 식물을 활용한 유효물질 대량생산 기술개발도 지원한다.

◆신기술로 질병 대응 역량 강화= 기존 화합물 기반의 약물 발굴이 유효물질의 고갈과 작용기작의 제약으로 한계에 다다른 만큼, 디지털 분석기술과 신기전‧신물질을 활용한 신약개발 원천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프로테아좀‧오토파지 등 생체 내 단백질 분해시스템을 활용한 신약, 유전자를 조작한 면역세포를 활용한 신약, siRNA,펩타이드 신약 등 최근 활발히 개발되고 있거나, 해외 성공사례가 있는 분야에 대한 우리 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디지털바이오 공통기반기술 확보

◆데이터 기반 분석‧제어기술 확보로 정밀의료 실현=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는 유전자 편집‧제어‧복원 기술의 효율을 2배 이상 향상한다.

줄기세포 분야에서는 조직별‧세포기원별 정보를 체계화한 줄기세포 유전체 지도(Atlas)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같은 줄기세포의 재생능력을 제어하는 기술도 확보할 계획이다.

◆가상화‧모형화 기술로 연구개발 강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며, 생명체의 빅데이터를 이용해 유전정보, 생체기능 및 생명기작을 설계‧예측할 수 있는 모형화 기술인 휴먼가상모형 기술 개발과 활용도 지원한다.

◆유효물질 발굴과 평가‧검증 최적화‧고속화 토대 구축= 인체유래물, 해양생물, 종자, 천연물 등 14대 바이오 소재에 대한 통합 정보 포털시스템을 구축해 유효물질 발굴과 활용을 지원한다.

기존 화합물은행을 고도화한 ‘디엔에이(DNA) 바코드 화합물 은행’ 핵심기술 확보와 공공은행을 구축해 유효물질 발굴을 고속화하며, 발굴된 유효물질 성능평가를 위해 이용되는 기존 동물실험을 장기유사체 기술로 대체하는 연구도 지원한다.

n10-2.jpg

데이터 중심 바이오 혁신 생태계 구성

◆국가 바이오 데이터 공유 플랫폼= 바이오 전 분야의 연구데이터를 통합 수집‧관리‧공유하는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K-BDS)’를 구축한다.

2022년 10월 기준, 약 146만건의 데이터가 확보돼 있는데, 2026년까지 총 17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데이터 관리 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세계적 데이터 생산‧축적‧관리 체계 마련= 임무 지향적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해 고품질의 바이오 데이터를 확보하고, 국제 수준의 데이터 등록 표준양식을 마련해 표준화된 데이터 축적을 지원한다.

또한 연구자 개개인이 데이터 관리계획(DMP)를 수립해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에 연구 데이터를 등록하도록 촉진한다.

◆데이터에 기반 바이오 연구 활성화= 축적된 바이오 데이터에 대해 인터넷기반자원공유 기반 인공지능 분석환경을 제공하고, 데이터 생산자와 연구자, 분석 전문가와 활용 기업 간 수요 맞춤형 데이터 중개를 활성화한다. 더불어 바이오 난제 해결에 중점을 둔 디지털바이오 선도사업도 2023년부터 신규 추진하게 된다.



디지털바이오 전환기반 마련

◆디지털바이오 우수연구개발성과 사업화= 바이오 연구개발 우수성과 중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유망성과를 발굴해 사업화를 지원하고, 학‧연‧벤처 교육상담과 전임상시험, 기획창업 프로그램 및 투자 동반협력과 연결망을 위한 토론회 등을 확대할 예정이다.

◆디지털바이오 분야 국내‧외 협력 확대= 기술발전과 정책‧사회‧경제‧안보 변화를 반영해 바이오 혁신전략을 지속 발전시킬 민관 합동 협의회를 구성하며, 해외 주요 연구기관과 합성생물학, 감염병 등 국가필수전략기술에 대한 기술협력을 강화한다. 또한 뇌연구, 합성생물학 관련 국제 표준 및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적극 참여한다.

◆융합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활성화= 교육‧연구‧산업 현장 간 유기적 연계가 가능하도록 사업 중심의 융합 교육 프로그램 신설을 추진하고, 바이오 데이터 분석․활용 전문역량을 갖춘 바이오데이터 조정자(코디네이터) 양성도 추진한다.

디지털 융복합 미래 의료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융합형 의사과학자(MD-Ph.D.) 양성도 2023년부터 본격 착수한다.

◆디지털바이오 육성 법적 기반 마련= 합성생물학 등 전략적 육성이 필요한 기술별로 법적 지원 근거 마련을 위해 관련 법령을 제‧개정하고, 연구개발전략 수립부터 제품화까지 과정에서 규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민관합동 바이오 규제개선반도 본격 운영한다.

기사출처 :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 공개…줄기세포·첨단신약 핵심기술 개발

​의학신문 이승덕 기자

bottom of page